Surprise Me!

[취재N팩트] 한미 기준금리 역전 앞두고 금리인상 단행 / YTN

2017-11-30 1 Dailymotion

그럼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과 앞으로의 금리 인상 속도 등에 대해 김원배 경제부 선임기자 연결해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이 시점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한 이유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가장 큰 이유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3.0%를 웃돌 것이 확실시되고 있고 내년에도 돌발 변수만 없다면 3%대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이 2% 후반대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기 때문에 3%대의 성장은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통상 금리 인상의 효과는 6개월 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따라서 지금 기준금리를 올려야 내년 이후 예상되는 물가 급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또 하나의 이유는 우리 시각으로 다음 달 14일 새벽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시되고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현재 미국의 기준금리인 연방기금 금리는 1.0%에서 1.25% 사이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은 기준금리를 우리나라처럼 고정시키지 않고 상단과 하단을 정해 그 범위 내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은 1.25%이고 하단은 1.0%인 것입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다음 달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보다 더 높은 이른바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.<br /><br />과거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던 시기에 국내 금융시장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던 전례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 역전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출에 북한발 리스크가 맞물릴 경우 국내 금융 시장에 불안감이 증폭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경고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한국은행도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피하고 싶었을 것입니다.<br /><br />더우기 다음 달에는 금융통화위원회가 예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한국은행이 오늘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고 미국이 다음 달에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적어도 내년 1월까지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지속 됐을 것입니다.<br /><br />따라서 한국은행이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을 피하려면 오늘 열린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.<br /><br /> <br /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의 임기가 내년 3월 말로 끝나는 점도 오늘 기준금리 인상의 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13011441568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